개인 공부 후 자료를 남기기 위한 목적이므로 내용 상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
2월 10일(목)
1. Linux 핵심개념
FHS(Filesystem Hierarchy Standard)
- root(/)
루트 폴더는 최상위 경로이며, '/' 기호로 접근할 수 있다.
- /home(~)
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유저의 공간으로 리눅스의 운영과 관리에 관련된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이다.
참고로, 해당 디렉토리는 '~' 기호로 접근할 수 있다.
- /bin & /sbin
/bin 폴더는 Binary의 약자로 OS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프로그램들이 들어 있다.
cat, chmod, chown, cp, date, echo, kill, ln, ls, mkdir, etx와 같은 기초적인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있다.
/sbin 폴더는 /bin 폴더와 유사하지만 오직 루트유저 전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.
- /usr
/usr 폴더는 user의 약자로 각 유저 이름에 해당하는 폴더이름이 존재한다.
/usr 안에 존재하는 각 폴더마다 bin, sbin, shared, lib과 같이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폴더가 생성되어 있다.
PATH
- / : root 디렉토리
- ~ : home 디렉토리
- 절대경로 : Absolute path는 이름 그대로 절대적 경로를 의미하며, 경로를 표현하는 방식이 root 디렉토리 부터 시작함
- 상대경로 : Relative path는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경로 (cf : (.)은 현재경로, (..)은 상위경로)
- 환경변수 : OS도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OS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변수가 필요함 (env 명령어로 linux의 환경변수 확인 가능)
참고로 환경변수 $PATH에는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의 경로가 저장되어 있으며, 여러 경로를 저장하기 위해 각 경로는 : 로 구분된다. 실제 ls 명령어는 /bin 디렉토리 안에 위치해 있지만, 해당 명령어가 위치한 경로를 별도로 지정해주지 않더라도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환경변수 덕분이다.
Configs
리눅스에서는 주로 파일을 통해 설정(configuration)을 한다. (ex : .bashrc, .zshrc)
shell 설정 파일을 비롯한 많은 설정 파일들이 대부분 유저의 home(~) 디렉토리에 있다.
dot(.)으로 시작하는 파일 및 디렉토리는 숨긴 파일로 간주한다.
숨긴 파일은 ls명령어에 a옵션(all)을 붙여줘야만 볼 수 있다.
2. Terminal 명령어
자주 사용하는 명령어
- cd : change directory(뜻) / 폴더이동(설명)
- ls : list segments(뜻) / 현재 경로 내 파일목록 출력(설명)
- pwd : print working directory(뜻) / 현재 경로출력
- mkdir : make directory(뜻) / 디렉토리 생성
- rmdir : remove directory(뜻) / 디렉토리 제거
- rm : remove(뜻) / 파일 제거 [rm -f는 파일 및 디렉토리 제거]
- cp : copy(뜻) /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
- mv : move(뜻) /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
- cat : concatenate(뜻) / 터미널에 파일 내용출력
- touch : touch(뜻) / 파일생성 및 날짜 정보변경
- chmod : change mode(뜻) /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설정 / ex. chmod u+x readme.md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 - 22.02.14 (0) | 2022.02.14 |
---|---|
TIL - 22.02.11 (0) | 2022.02.11 |
TIL - 22.02.09 (0) | 2022.02.09 |
TIL - 22.02.08 (0) | 2022.02.08 |
TIL - 22.02.07 (0) | 2022.02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