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 입문 수업을 듣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
개인 공부 후 자료를 남기기 위한 목적이므로 내용 상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
문제
[사과나무(BFS)]
현수의 농장은 N*N 격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각 격자안에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가 심어져있다.
(단, N은 항상 홀수)
가을이 되어 사과를 수확해야 하는데, 현수는 격자판 안의 사과를 수확할 때 다이아몬드 모양의 격자판만 수확하고 나머지 격자 안의 사과는 새들을 위해서 남겨놓는다. 만약, N이 5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진한 부분의 사과를 수확한다.
현수가 수확하는 사과의 총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*입력 설명
첫 번째 줄에 자연수 N(3 ≤ N ≤ 20, 홀수)이 주어진다.
두 번째 줄부터 N줄에 걸쳐 각 줄에 N개의 자연수가 주어진다.
해당 자연수는 각 격자안에 있는 사과나무에 열린 사과의 개수이다.
단, 각 격자의 사과 개수는 100을 넘지 않는다.
*출력 설명
수확한 사과의 총 개수를 출력한다.
풀이(Python)
답안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sys.stdin = open('AA/input_63.txt', 'rt')
dx =[-1, 0, 1, 0]
dy = [0, 1, 0, -1]
n = int(input())
a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
ch = [[0] * n for _ in range(n)]
sum = 0
L = 0
Q = deque()
ch[n//2][n//2] = 1
sum += a[n//2][n//2]
Q.append((n//2, n//2))
while True:
if L == n//2:
break
size = len(Q)
for i in range(size):
tmp = Q.popleft()
for j in range(4):
x = tmp[0] + dx[j]
y = tmp[1] + dy[j]
if ch[x][y] == 0:
sum += a[x][y]
ch[x][y] = 1
Q.append((x, y))
L += 1
print(sum)
# 출력 : 379
input_63.txt(입력)
5
10 13 10 12 15
12 39 30 23 11
11 25 50 53 15
19 27 29 37 27
19 13 30 13 19
중요내용
- 넓이우선탐색은 큐 자료구조를 활용한다.
- 격자판의 정 중앙(" a[n//2][n//2] ")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탐색을 시작한다.
- 단, 상하좌우는 " 좌 -> 상 -> 우 -> 하 " 순으로 시계방향 탐색을 한다.
- 상태트리의 레벨이 증가하면서 동시에 상하좌우 탐색을 지속한다. (단, 이미 방문한 격자는 제외함 : 중복제거)
- 이러한 탐색 방법을 사용하면 결국 N*N 격자판에서 다이아몬드 모양의 격자만을 탐색할 수 있다.
- 참고로, 상하좌우 탐색이기 때문에 노드에서 뻗어나오는 간선의 개수는 4개로 항상 동일하다.
- 변수 dx, dy는 상하좌우 탐색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스트이다.
- 변수 ch는 재방문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스트이다. (중복 체크)
- 변수 sum에 다이아몬드 형태로 격자판의 값을 모두 더해서 저장한다.
- 격자판의 중앙지점을 나타내는 코드는 a[n//2][n//2] 이다. (탐색의 시작점)
- 상태트리의 레벨(L)이 n//2일 때, 넓이우선탐색이 종료된다.
- 상태트리의 레벨(L)이 0이면 size의 크기는 1이고, 레벨이 1이면 size의 크기는 4가 되며, 레벨이 2이면 size의 크기는 16이 된다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lgorithm - 미로 탐색(DFS) (0) | 2022.01.11 |
---|---|
Algorithm - 미로의 최단거리 통로(BFS) (0) | 2022.01.09 |
Algorithm - 송아지 찾기(BFS : Breadth First Search) (0) | 2022.01.07 |
Algorithm - 알파코드(DFS) (0) | 2022.01.05 |
Algorithm - 동전 분배하기(DFS) (0) | 2022.01.0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