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 입문 수업을 듣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
개인 공부 후 자료를 남기기 위한 목적이므로 내용 상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
문제
[회의실 배정]
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들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.
각 회의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,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수의 회의를 찾고자 한다. 단,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할 수 있다.
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*입력 설명
첫 번째 줄에 회의의 수 N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
두 번째 줄부터 N+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 것이다.
*출력 설명
첫 번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수를 출력하시오.
풀이(Python)
답안
import sys
sys.stdin = open('AA/input_26.txt', 'rt')
n = int(input())
meeting = []
for i in range(n):
s, e = map(int, input().split())
meeting.append((s, e))
meeting.sort(key = lambda x : (x[1], x[0]))
et = 0
cnt = 0
for s, e in meeting:
if s >= et:
et = e
cnt += 1
print(cnt)
# 출력 : 3
input_26.txt(입력)
5
1 4
2 3
3 5
4 6
5 7
중요내용
- append() 함수의 인자를 튜플 형태로 넣으면, 특정 리스트에 튜플 형태로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.
- sort() 함수는 인자가 없으면, 튜플 자료형의 첫 번째 데이터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시킨다.
- 반면에 위의 코드처럼 람다 함수식을 사용하여 sort() 함수에 인자 값 key = lambda x : (x[1], x[0])을 넣어주면 튜플 자료형의 두 번째 데이터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시킨다.
- 참고로, 이 문제는 회의가 끝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입력 받은 데이터를 오름차순 정렬하는 것이 핵심이다.
- 변수 et는 회의가 끝나는 시간을 의미한다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lgorithm - 창고 정리(그리디) (0) | 2021.11.19 |
---|---|
Algorithm - 씨름선수 선발(그리디) (0) | 2021.11.19 |
Algorithm - 마구간 정하기(결정 알고리즘) (0) | 2021.11.19 |
Algorithm - 뮤직 비디오(결정 알고리즘) (0) | 2021.11.19 |
Algorithm - 랜선 자르기(결정 알고리즘) (0) | 2021.11.19 |
댓글